분류 전체보기 319

[갤러리] 곤자가 삼위일체 The Gonzaga Trinity: 루벤스

[갤러리] 곤자가 삼위일체 The Gonzaga Trinity: 루벤스 성화는 1604-05년 피터 폴 루벤스 Peter Paul Rubens가 그린 삼부작의 중심으로 이탈리아 만투아 Mantua의 듀칼 궁전 Ducal Palace에 보관되어 있는 그림입니다. 루벤스의 삼부작으로 양쪽 측면에서는 그리스도의 변모와 그리스도의 세례가 전시되어 있었지요. 이 작품은 듀크 빈센조1세 곤자가가 만토바에 있는 삼위일체 예수회 교회를 위해서 의뢰하였고, 그림에는 공작의 부모와 빈센조1세와 아내와 자녀가 그려져 있습니다. 1797년 나폴레옹 군대의 이태리 만토바 점령에 의해서, 루벤스 삼부작 중에 2개를 프랑스로 반출되었고, 중앙에 있던 곤도자 삼위일체 그림은 많은 조각으로 해체되는 비운을 겪게 됩니다. 실제, 루벤스..

가톨릭 지식 2023.04.21

[전략] 윤대통령 방미, 아젠더는 비즈니스

[전략] 윤대통령 방미, 아젠더는 비즈니스 2023년 4월 윤대통령의 방미일정이 발표되었는데, 주요 아젠더는 비즈니스이네요. 4월 26일 한미 대통령의 정상회담이 있지만, 그 이외로 워싱턴DC 및 보스턴에서 7건의 비즈니스 일정이 이어집니다. 5대그룹 총수를 비롯하여 총 122명의 경제사절단과 미국의 주요 비즈니스, 첨단산업, 항공우주, 콘텐츠 및 MIT/하버드 대학까지 방문하는 꽉찬 일정이네요. 한국 대통령의 리더십과 한국의 주요 대기업 및 중소기업의 미국 진출/협력이 더욱 활발해지는 좋은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봅니다. 윤 대통령은 첫 기착지인 워싱턴에서 4건, 보스턴에서 3건의 경제 행사를 소화할 예정이다. 투자신고식과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서 윤 대통령은 한국 투자를 결정한 미국 기업을 격려한 뒤, ..

시사 지식 2023.04.20

[미국전략] 북한 핵 공격시, 미국 핵 보복은 진심 (주한미군사령관)

[미국전략] 북한 핵 공격시, 미국 핵 보복은 진심 (주한미군사령관) [미국전략] 북한 핵 공격시, 미국 핵 보복은 진심 (주한미군사령관) 에 대해 리뷰하려고 합니다. 북한 핵 공격능력 대응 : 한국+미국 전략적 모호성 대비, 강력한 핵보복 수단 필요 미국 의회에서 진행된 북한 탄도미사일을 이용한 핵 공격이 미국 수도인 워싱턴DC까지 타격이 가능하다는 주한미국 사령관 폴 러캐머라 장군의 인터뷰가 보도되었네요. 북한과의 군사적 충돌 및 전면전을 원하는 한국인은 하나도 없겠지만, 그래도 북한의 선제 공격에 의한 불가피한 전쟁 시나리오는 항상 철저히 대비해야 하겠지요. 가장 가정하기 어려운 북한 핵공격으로 한국의 수도 서울과 미국의 수도 워싱턴DC가 타격을 입는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군사적으로 당연한 답..

시사 지식 2023.04.20

[갤러리] 성 토마스의 의심 The Incredulity of Saint Thomas: 카라바조

[갤러리] 성 토마스의 의심 The Incredulity of Saint Thomas: 카라바조 성 토마스의 의심 The Incredulity of Saint Thomas는 1601-02년 카라바조가 그린 작품으로 현재 개인 소장품에 있는 Girolamo Mattei(Giovanni Baglione)의 교회 "Trieste" 버전과 나중에 그려진 Vincenzo Giustiniani(Pietro Bellori)의 세속적 "Potsdam" 버전의 두 가지 사인 버전이 있는데, 세속버전이 컬러풀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요. 현재, 세속 포츠담 버전은 프로이센 왕실 소장품이며 제2차 세계 대전이후, 현재 독일 포츠담의 상수 Sanssouci 시 팔레에 있고, 교회 트리에스테 버전은 이태리 피렌체 Collez..

가톨릭 지식 2023.04.17

브라질 룰라 대통령, 중국 방문 및 정상 외교 (2023년 4월)

브라질 룰라 대통령, 중국 방문 및 정상 외교 (2023년 4월) 2023년 4월 14일 중국을 공식방문한 브라질 룰라 대통령은 미국의 독주를 비난하며, 중국 및 러시아의 다극체제를 지지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네요. 특히, 브라질은 중국과의 전면적 전략 동반자 관계를 천명하고, 베이징 정상회담 이후에 무역과 투자, 디지털 경제, 정보통신, 우주 등에서 양자 협력을 강화하는 문건에 서명하기도 했네요. 룰라 / 브라질 대통령 : 미국은 전쟁을 부추기는 것을 멈추고 평화에 대해 이야기할 필요가 있습니다. EU는 평화에 대해 이야기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렇게 함으로서 우리는 푸틴과 젤렌스키에게 평화는 모두에게 이익이 되고 전쟁은 오직 그들 둘에게만 이익이 된다고 설득할 수 있습니다.      시 주석은 "중국과 ..

시사 지식 2023.04.16

중동 페트로 달러 와해, 중국 위안화 결제?

중동 페트로 달러 와해, 위안화 결제? [중국전략] 중동 페트로 달러 와해, 중국 위안화 결제? 에 대해 리뷰하려고 합니다. 페트로 달러 : 1975년 중동 석유대금, 미국 달러로 결제 관행페트로 달러 Perto Dollar 체제의 의미는 실제 확인되지 않는 Unwritten rule 비슷한 개념으로 중동에서 석유를 사게 되면 대금을 반드시 미국 달러 US Dollar로 결제해야하는 관행을 지칭합니다. 즉, 중동 오일과 미국 달러가 국제 시장에서 통용되는 유일한 화폐로 지정해서, 금 본위제 개념을 중동 오일 본위제로 변환한 것 이지요. 미국은 사우디 아라비아를 비롯하여, 중동의 주요 산유국에 대해서, 국제 안보를 공약하고, 페트로 달러로 불리는 중동 오일에 대한 미국 달러 결제 제도를 1975년 이후 시..

시사 지식 2023.04.16

[전략]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의 의도된 발언?

[전략]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의 의도된 발언? 2023년 2월 5-7일 중국을 국빈방문한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은 귀국하는 비행기 안에서의 인터뷰에서 정제되지 않은 과격한 발언을 선보였는데, 의도된 것일까요? 아님, 실수일까요? 진심인가요? 어쨌든, 프랑스 및 유럽 일부 정치인들도 미국의 미국 우선주의 노선에 대해서, 비판적 사고를 갖게 되는 단초를 보여주는 듯 합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소극적 대응으로 중동에서 미국 및 유럽의 주도권이 상실되어 가고, 다시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로 유럽과의 동맹을 경제적인 손익으로만 계산하는 것에서, 다시 바이든 대통령의 애매모호한 동맹 정책에 유럽의 지도자들이 느끼는 피로와 스트레스가 있는 듯 합니다. 코비드 2년간의 경제침체에 이어서, 미국 주도의 금리인상..

시사 지식 2023.04.16

[리뷰] 국민연금: 재정고갈 2057년 대책은?

[리뷰] 국민연금: 재정고갈 2057년 대책은? [리뷰] 국민연금: 재정고갈 2057년 대책은? 에 대해 리뷰하려고 합니다. 국민연금의 재정고갈이 2060년에서 2057년으로 3년 빠르게 재정고갈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한국의 미래에 대한 암울한 전망이 이어지는데에는, 인구감소 및 노령화가 주요 원인이지요. 차트로 확인하면, 2044년부터 국민연금은 피크치에서 마이너스로 전환되어, 10년 정도면 고갈되는 것으로 추정을 하고 있네요. 한국 국민연금 재정고갈 대책은? 한국의 국민연금 재정고갈은 인구 피라미드에서 해결책을 찾아야 합니다. 즉, 경제 활동인구인 20-60세의 인구와 경제 미활동인구인 0-20세 및 60-80세 비중을 조절하는 것이 관건입니다. 하지만, 한국 인구 피라미드는 2000년 이후로 급격..

시사 지식 2023.04.16

[리뷰] 한국 대통령, 12년만에 미국 국빈방문

[리뷰] 한국 대통령, 12년만에 미국 국빈방문 2023년 4월 26일 미국 대통령 및 정부의 공식초청으로 한국 대통령이 미국 국빈방문을 하는 것이 12년만에 재개 된다는 뉴스입니다. 기록을 찾아보니, 2011년 10월 이명박 대통령이 버락 오바마 정부의 초청으로 국빈방문을 하고, 미국 의회에서 연설을 했네요. (* 소스: 2011년 10월 이명박 대통령 미국의회 연설전문 기사) 국빈 방문 State Visit : 외교 분류 4단계에서 1단계 국빈방문은 국가 귀빈 방문의 약자로 영어로 State Visit 이라고 일컫는데, 외교부 분류에선 국빈방문(State Visit), 공식방문(Official Visit), 실무방문(Working Visit), 사적방문(Private Visit) 등 4가지 형태로 나..

시사 지식 2023.04.16

[뮤직] 가톨릭성가 135: 알렐루야 알렐루야 주 예수 Alleluia! Alleluia! Let the holy anthem rise

[뮤직] 가톨릭성가 135: 알렐루야 알렐루야 주 예수 Alleluia! Alleluia! Let the holy anthem rise 미국 가톨릭 성가 Alleluia! Alleluia! Let the holy anthem rise 인데, 영어로 부르려면 가사연습이 필요하네요. 알렐루야 알렐루야 주 예수 찬송가는 에드워드 캐스월 Edward Caswall (1814년 7월 15일 – 1878년 1월 2일)이 작사한 것으로, 원래 성공회 성직자이었으나, 천주교 로 개종하여 오라토리오 사제 가 되었네요. 그가 작사한 유명한 찬송가로는 "알렐루야 알렐루야 주 예수", "오소서, 성신이여" 및 "주님의 아들과 딸들" 등이 있습니다. 가톨릭성가 135: 알렐루야 알렐루야 주 예수 1) 알렐루야 알렐루야 부활하신..

가톨릭 지식 2023.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