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19

[전략] 한국, 자녀 양육비 세계 1위 ?

[전략] 한국, 자녀 양육비 세계 1위 ? 네이버 뉴스에 홍콩 사우스차이나 모닝 기사가 번역되어서, 한국이 자녀 양육비 세계 1위이고, 중국이 2위라는 기사 떳네요. 하지만, 기사에는 몇가지 정도 정확하지 않은 사항이 있는 듯 합니다. 첫째는 capita disposable income 대비로 기준했기 때문에, 국가별로 소득 대비 자녀 양육비의 투자가 과하다는 분석이 정확하지 절대적인 양육비가 높다고 할 수 없다는 것 입니다. 둘째는 2022년 기사에서도 같은 중국 연구소 YuWa Population Research 자료가 소개되었는데, 중국 및 일본이 한국 보다 양육비 투자가 높은데, 1년 만에 한국은 거의 그대로 인데, 중국 및 일본이 갑자기 낮아질 수가 있을까요? 중국 자료는 도시별 소득까지 분석했..

시사 지식 2023.05.08

[갤러리] 수태고지 The Annunciation: 루벤스

[갤러리] 수태고지 The Annunciation: 루벤스 수태 고지 The Annunciation 는 루벤스 Peter Paul Rubens가 그린 두 그림의 제목으로, 첫 번째 작품은 앤트워프의 예수회 대학에서 의뢰하여 1609년에 그렸고, 현재 비엔나 미술사 박물관 에 있네요. 다시, 두 번째 작품은 1610년경 루벤스가 오른쪽 절반을 그렸지만 알 수 없는 이유로 미완성 상태로 두었고, 마침내 1627~1628년에 그림을 완성했고 마리아의 모습도 수정했는데, 현재 1954년에 인수한 앤트워프 의 Rubenshuis 에 있지요. 우선, 첫 번째 작품인 비엔나 그림은 상당히 전통적인 구성으로 천사 가브리엘이 오른쪽에 있고, 방금 땅에 내려앉았지만, 그의 옷은 여전히 ​​그의 비행에서 부풀어 올랐으며, ..

가톨릭 지식 2023.05.03

[전략] 전세사기 사건, 조직범죄화

[전략] 전세사기 사건, 조직범죄화 최근 전세사기가 계속 기사화 되는데, 주로 깡통전세 방식으로 보증금 반환능력이 처벌 대상을 미리 선정한 이후에, 부동산 중개인을 동원한 대량의 전세계약을 추진하고, 1-2년 이후에 사기사건을 피해자가 인지하게 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네요. 2022년 주로 가십이 되었던 빌라왕 김모씨는 1,139채를 소유했고, 빌라의 신 권모씨는 3,493채를 소유하고, 종합부동세금을 체납하고, 보증금을 반환하지 않으면서, 기사화되었네요. 하지만, 현재까지 유사한 대규모 전세사기 사건은 10건 이상인데, 전국적으로 전세사기에 관련된 전세주택 숫자가 7-8천채에 달하는 상황이네요. 특히, 2022년 이후 발생하는 사건은 전세사기를 조직범죄화해서, 주로 이를 주도하는 배후와 브로커가 있고,..

시사 지식 2023.05.03

[전략] SG증권발 주가조작 배후는?

[전략] SG증권발 주가조작 배후는? 현재까지 SG 증권발 주가조작 배후는? 언론보도 기준으로는 밝혀진 것이 없이 안개 속에 있고, 관련자들은 모두 피해자라고 주장하네요. 그럼, 가능한 주가조작 배후는 누구일지, 가능한 시나리오는 생각해보려고 합니다. 시나리오 1. 현재 주요 관련자가 조작 실제 주가조작을 실행하고, 갑작스런 폭락사태에서 피해자로 연기하는 것을 모두 준비한 시나리오 현재, H투자의 완벽한 시나리오로 주가조작에 대한 이익은 취하고, 처벌은 피하는 방안까지 설계가 필요 시나리오 2. 현재 주요 관련자가 피해자이고, 다른 제3의 배후가 조작 현재 언론으로 주장하는 관련자들의 주장이고, 실제 다른 제3의 배후가 있다면 가능한 시나리오 단, H투자의 주가조작을 인지하고, 이를 역이용해서 대규모 주..

시사 지식 2023.04.30

[전략] 윤대통령, 하버드 케네디스쿨 연설

[전략] 윤대통령, 하버드 케네디스쿨 연설 2023년 4월 28일 윤대통령 미국 국빈방문 마지막 일정으로 보스턴 하버드 대학교 케네디스쿨 연설 및 조지프 나이 교수와의 대담이 이루어졌네요. 윤석열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독재와 전체주의에 속지 않기 위해 자유에 대한 확고한 철학과 신념을 가져야 하며, 힘을 합치고 연대해 자유를 위협하는 세력에 맞서야 한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보스턴 하버드대학교 케네디스쿨에서 연설했다. 연설 주제는 '자유를 향한 새로운 여정(Pioneering a New Freedom Trail)'이다. 한국 현지 대통령 중 하버드대에서 연설한 건 윤 대통령이 처음이다. 다른 나라의 자유를 무시하는 ‘힘에 의한 현상 변경 시도’에 국제사회는 용기 있고 결연한 연대로서 대응..

시사 지식 2023.04.30

[전략] SG증권발 주가조작 의혹사건

[전략] SG증권발 주가조작 의혹사건 2023년 4월 24일 부터 발생한 SG증권발 주가조작 의혹사건은 H투자컨설팅업체가 주도한 것으로 의심되고 있는 가운데, 4/28일 금융감독원의 자본시장조사단 요원들이 전면적인 압수수색을 실행했다는 기사가 있네요. SG증권발 주가조작을 주도한 10여명에 대한 사무실 및 주거지에 대한 수색을 실행했다는 것인데, H투자컨설팅업체에 관련된 투자자가 1,000명에 달하면서, 유명한 연예인, 정재계 인사 및 의사 등이 있다는 합니다. 대표적인 관련자이었던 임창정 씨의 주장에 따르면, 한 계좌가 15억 이어서, 4 계좌로 60억을 차명계좌 방식으로 넘겨서 투자했다는 것 이네요. 한국이 항상 사기사건이 많은데, 주로 2가지가 문제라고 생각되네요.첫째는 사기사건에 대한 형사 및 민..

시사 지식 2023.04.30

[전략] 윤석열 대통령, 미국 의회 영어연설

[전략] 윤석열 대통령, 미국 의회 영어연설 2023년 4월 27일 한국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의 하이라이트인 미국 의회 영어연설이 진행되었네요. 윤대통령의 영어연설은 이전 김대중 대통령의 미국 의회 영어연설과도 맥을 이으면서, 미국과 한국의 70년간의 동맹 및 한국전쟁을 전후한 관계부터 현재에 이르는 혈맹의 의미를 보여주는 듯합니다. YOON SUK YEOL, President of Republic Of Korea "The war ended after three years of intense battle. Our two nations has signed the mutual defense treaty and open new era of the alliance. Ever since, the Kor..

시사 지식 2023.04.28

[전략] 한국전쟁 영웅 10명, 삼성, LG 맨해튼 광고

[전략] 한국전쟁 영웅 10명, 삼성, LG 맨해튼 광고 한국전쟁 3년간 한국 및 미국 주도의 UN군은 150만명이 전사, 실종, 부상 및 포로 가 되었고, 북한 및 중공군도 비슷한 규모의 사상자가 발생했지요. 군인 및 민간인을 합쳐서, 사망자가 3백만명으로 엄청난 대량 살상이 벌어진 전쟁으로, 당시 한국 및 북한 인구가 대략 3천만이었으므로, 거의 10%가 인명 피해를 입었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또한, UN 16개국 이외에 비군사 지원을 제공한 20여개국 및 북한을 지원한 중국 및 소련까지 합치면, 거의 30여개국이 참전한 국제 규모의 전쟁이었지요. 한국에서는 625전쟁 또는 한국전쟁을 통칭하지만, 북한은 조국해방전쟁, 일본은 조선전쟁, 중국은 항미원조전쟁 抗美援朝战争 으로 부르지만, 가장 대표적인 것..

시사 지식 2023.04.27

[전략] 한국, 군비지출 9위 (2022년)

[전략] 한국, 군비지출 9위 (2022년) 한국, 군비지출이 2022년 스톡홀름 국제평화재단(SIPRI) 통계 기준으로, 464억 달러를 지출하면서 전세계 순위 9위에 랭크되면서 근소한 차이로 일본을 제쳤다는 기사이네요. 세계 1위는 미국 8770억 달러 압도적 군비를 사용하고, 2위 중국 2920억 달러의 3배 수준이네요. 3위 러시아는 864억 달러로 중국의 1/3 수준이고, 4위 인도 814억 달러, 5위 사우디 아라비아 750억 달러와 비슷한 규모입니다. 6위 영국 685억 달러, 7위 독일 558억 달러, 8위 프랑스 536억 달러가 차지했고, 바로 9위 한국 464억 달러, 10위 일본 460억 달러에 위치했네요. 아시아 기준으로는 중국 > 인도 > 한국 > 일본 > 호주 > 대만 순서로 군..

시사 지식 2023.04.25

주불 중국대사, 옛 소련국가 주권 없다

주불 중국대사, 옛 소련국가 주권 없다 프랑스의 친중정책이 유럽 및 미국에서 논란을 만들어내고 있네요. 중국이 시도하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중재도 중립성 및 객관성 측면에서 의심을 사는 형국이 되어가면서, 실제 효과를 내기 어려울 것 같은 상황이 전개되는 듯합니다. 프랑스 중국대사는 TV 인터뷰에서 러시아의 주장을 되풀이하는 발언으로, 구 소련 국가들의 반발을 초래하고, 사과를 요구받았지만, 침묵하는 중이지요. 주불 중국대사의 논리라면, 역사적으로 한 번이라도 차지한 영토를 자신들의 영토로 주장할 근거를 인정하는 것으로, 한국은 고구려 역사에 근거한 영토를 얼마든지 주장할 수 있겠고, 이는 힘의 논리, 또는 군사 분쟁을 초래하는 신 제국주의가 도래하겠지요.   결국, 중국은 러시아를 지지하고,..

시사 지식 2023.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