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 지식/경영 과학 리뷰

토요타 자동차: 글로벌 자동차 10년 1위, 테슬라의 도전

S부장 2025. 2. 26. 05:27

토요타 자동차: 글로벌 자동차 10년 1위, 테슬라의 도전 

 

토요타 자동차: 豊田 自動車 Toyota Motor

 

토요타, 10년간 글로벌 자동차 시장을 주도하다

 

토요타자동차(Toyota Motor Corporation)**는 지난 10년간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유지하며 선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2015년부터 2024년까지의 생산량과 매출 변화를 살펴보면, 여러 외부 요인과 내부 전략이 작용하며 다양한 변동이 있었다.

 

2015년, 토요타는 약 1,000만 대의 차량을 생산하며 세계 1위 자동차 제조업체로 자리매김했다. 코롤라(Corolla), 캠리(Camry), 라브4(RAV4) 등 주요 내연기관 차량뿐만 아니라, 하이브리드 시장에서도 강세를 보였다. 특히, **프리우스(Prius)**가 친환경차 시장을 선도하며 매출 성장에 기여했다. 2016년부터 2019년까지도 꾸준히 연간 1,000만 대 이상을 생산하며 안정적인 성장을 유지했다.

 

그러나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글로벌 자동차 시장은 위기를 맞이했다. 공급망 문제와 공장 가동 중단으로 인해 생산량이 감소했으며, 2020년 연간 판매량은 950만 대 수준으로 떨어졌다. 하지만 디지털 판매 채널 강화 및 재고 관리 전략을 통해 빠르게 회복했고, 2021년부터 다시 1,000만 대 이상의 생산량을 기록했다.

 

2022년과 2023년에는 반도체 부족 사태가 발생하며 전반적인 생산량에 차질이 생겼지만, 토요타는 공급망 다변화를 통해 타사보다 더 빠르게 정상화했다. 2023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약 1,080만 대의 차량을 판매하며 다시 한 번 글로벌 1위를 차지했다. 특히, 미국과 중국 시장에서의 판매량 증가가 이 같은 실적을 뒷받침했다.

 

 

토요타 자동차
토요타 자동차

 

 

2024년 현재, 토요타의 생산량과 매출 현황

 

2024년 2월 기준, 토요타의 글로벌 생산량은 전년 대비 6.2% 감소869,230대를 기록했다. 이는 반도체 공급 문제 및 글로벌 경기 둔화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매출은 오히려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두 달 연속 증가하는 추세다.

 

토요타는 2025년 3월기 연결 순이익 전망을 기존 3조 5,700억 엔에서 4조 5,200억 엔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당초 예상보다 9% 감소한 수치지만, 시장 예상치를 뛰어넘는 성과다. 이러한 매출 증대는 북미와 유럽 시장에서의 SUV 및 하이브리드 모델의 강한 수요 덕분이다.

 

미래 시장을 대비한 투자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토요타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140억 달러를 투자해 배터리 생산 시설을 구축하고 있으며, 2025년 4월부터 본격적으로 전기차(EV) 배터리를 생산할 예정이다.

 

또한, 중국 상하이(Shanghai) 정부와 협력하여 현지에서 전기차 및 배터리 개발을 강화하는 등 글로벌 전기차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전략을 펼치고 있다.

 

2025-2030년, 전기차 전환과 미래 전망

 

향후 2025년부터 2030년까지 토요타는 전기차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하지만 전기차 수요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일부 생산 계획을 조정하는 모습도 보인다. 당초 2026년까지 연간 150만 대의 전기차 생산을 목표로 했으나, 최근 공급업체에 전달된 계획에 따르면 이를 100만 대 수준으로 하향 조정할 가능성이 크다.

 

전기차뿐만 아니라, 토요타는 하이브리드 및 수소차(Hydrogen Fuel Cell Vehicle) 시장에서도 지속적으로 강세를 보일 전망이다. 특히, 유럽과 일본 시장에서는 **미라이(Mirai)**와 같은 수소연료전지차(FCEV)의 확대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지속 가능성(Sustainability) 측면에서도 다양한 전략을 펼치고 있다. 토요타의 투자 부문인 **우븐캐피탈(Woven Capital)**은 폐타이어 자원순환 전문기업 **엘디카본(LD Carbon)**에 400억 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하며 자동차 공급망 전반에서의 친환경적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토요타는 지난 10년간의 시장 변화를 유연하게 대응하며 꾸준한 성장을 이루어 왔다. 2025년부터 2030년까지는 전기차, 하이브리드, 수소차 등의 다양한 친환경차 기술을 통해 지속적인 시장 리더십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전기차 시장의 변동성을 고려한 유연한 전략이 요구될 것이다.

 

 

 

 

토요타 SUV 모델 총정리: Toyota, RAV4 vs Highlander vs 4Runner vs Sequoia (2024)

토요타 SUV 모델 총정리: Toyota, RAV4 vs Highlander vs 4Runner vs Sequoia (2024) 토요타 SUV Toyota SUV [자동차] 토요타 SUV 모델 총정리: RAV4 vs Highlander vs 4Runner vs Sequoia (2024) 에 대해 리뷰하려고 합니다. 미국에

stephan-review.tistory.com

 

 

 

 

반응형